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장비를 알아봅시다!

★붕닭이의 보온★

by 붕닭 2021. 1. 8. 21:44

본문

안녕하세요 보온 공 붕닭입니다. 오늘은 장비에 대해서 설명해드려 볼까 합니다. 그럼 한번 같이 알아보러 가보실까요?

 

첫 번째로 일반 사다리입니다. 일반적으로 5단짜리 사다리를 많이들 사용하시는데 현장에서 다들 보신 적 있으시죠? 안전기준이 강화되면서 사다리 옆에 아웃트리거가 설치가 되어있는 사다리만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사다리 작업은 항상 2인 1조로 하셔야 한다는 점 있지 마시고요! 높이를 맞추려고 5단을 전부 올려서 작업하실 때도 맨 위의 발판은 밟으면 안 되는 법도 생겼습니다! 그리고 사다리 5단을 전부 다 올려도 높이가 낮을 때 아예 1자로 펴서 작업하시는 분들도 계신데요. 이것도 안전기준법에 어긋나니까요! PT비계를 이용하던지 6단이나 7단 사다리를 이용해서 작업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사다리 올라가실 때 안전고리와 안전모도 꼭 착용하셔야 하고요! 안전작업! 

 

 

 

 

두 번째로는 입상 사다리라고 부르는 사다리인데요. 일반 5단 사다리보다는 훨씬 가볍고 이동이 용이하죠. 대신 3m 이상 높은 곳들은 작업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5단 사다리랑 마찬가지로 맨 윗부분을 밟으시면은 안되고요. 안전모랑 안전고리는 역시 꼭 체결하셔야 합니다. 보통 아파트 입상 작업을 할 때 주로 많이 이용하는 장비입니다. 가벼운 만큼 위험부담도 높기 때문에 안전하게 작업하겠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는 게 가장 중요할 것 같아요! 실제로 사다리 안전사고들을 살펴보면 1~2m 정도 높이에서 떨어지는 방심 사고들을 엄청 많으니 조심해서 작업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정도면 사다리는 다들 알고 계실 거니 넘어가도록 하죠^^

 

 

 

 

 

 세 번째로는 PT비계입니다. 공사 진행되고 있는 건물들을 주변에서 많이들 보신 적 있으실 거예요. 건물 외벽에 발판을 설치하고 올라가게 만들어 놓는 것이 PT비계인데 보온작업을 할 때도 주로 애용하는 장비라고 할 수 있죠. 옆에 보이시는 사진은 PT1단을 설치하고 난간대를 설치해놓은 사진입니다. 아웃트리거는 설치가 되어있지 않네요. 안전기준으로는 아웃트리거 설치, 난간대 설치는 꼭 해주셔야 합니다. 안전고리는 말할 것도 없고요. 보통 PT1단~PT2단을 주로 사용하는데 단이 올라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니 훨씬 위험해지겠죠? PT는 상가 현장 소방 행주관, 아파트 지하주차장, 아파트 기계실 등등 어디서든 넓이가 되면 작업을 편하게 해 주기 때문에 꼭 알고 계셔야 하는 장비라도 할 수 있겠습니다.

네 번째로는 렌털입니다. PT1단~2단으로도 높이가 낮아서 보온을 하기가 힘든 경우에 렌털을 이용해서 작업을 하기도 합니다. 높이가 많이 높을 때 렌털이 가장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사다리나 PT보다는 조금 더 안정적이기는 해요. 렌털을 이용하실 때 주의하실 점은 경사가 진 곳에서 수직상승을 하시면 안 되고, 베테랑 반장님들이 계실 경우에 조작법을 능숙하게 숙지하시고 작업을 하셔야 되겠습니다. 운전보다 훨씬 쉬워요! 현장마다 렌털 작업자들 시험을 보는 곳들도 있고, 그냥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렌털 조작법이나 렌털 오류 등은 장비 이용방법을 설명해드릴 때 같이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렌털이 제일 편해요. 사다리는 다리 아프고, pt는 좁아서 안 들어가는 곳들도 많고요. 렌털도 좁은 데는 못 들어가지만 일을 수월하게 하기 가장 편리한 도구이기도 하죠. 제가 현장에서 사용하는 장비들은 이 정도인 것 같네요. 

 


오늘은 보온을 할 때 쓰는 장비들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봤습니다. 일반 사다리, 입상 사다리, PT비계, 렌털 총 4가지로 나누어서 말씀을 드려보았고요. 사다리 사용법들은 다들 알고 계실 테니 PT비계 설치방법, 해체방법, 렌털 조작법은 조만간 따로 나누어서 설명을 해 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이만 보온 궁 붕닭 물러나겠습니다!!

'★붕닭이의 보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온자재 보충~!  (1) 2021.01.06
배관 보온공 붕닭!  (0) 2021.01.03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